Today`s Study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22.03.03 목 오늘은 함수형 자바스크립트 기본기와 리액트에 대해 간단하게 배워보았습니다. 함수형 자바스크립트에서는 4가지 개념을 배웠습니다. 평가, 일급, 일급 함수, 고차함수 입니다. 평가는 코드가 계산되어 값을 도출하는 것을 의미, 일급은 인자, 결과 등으로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일급 함수란 함수가 결과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 고차함수는 여기서 좀 더 나아가 함수를 인자로 받아 사용하는 함수, 함수를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가 있습니다.(클로저를 사용) 리액트는 ReactDOM.render로 화면을 그리는 것과 컴포넌트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ReactDOM.render(컴포넌트, 넣을 위치) 이렇게 사용하는데 React문서에 가보니 조금 달랐습니다. ReactDOM.render(elemen.. 22.03.02 수 프로젝트가 끝났다는 핑계로 조금 쉰다는 것이 어쩌다보니 연휴랑 겹쳐서 푹 쉬어버리게 되었습니다. 반성합니다... 내일부터 다시 도서관에 출근해서 공부를 시작해야겠다고 마음먹게 된 하루입니다. 오늘은 쉬다가 죄책감이 들어 간단하게 코어 자바스크립트 내용을 복습해보았습니다. 프로젝트가 진행된 15일 동안 까먹었을까봐 다시 훑어보았는데요 다행히 보다보니 기억이 다시 나서 한 번 훑어볼 수 있었습니다. 내일 제대로 시간을 투자해서 복습을 진행하고 다음 수업으로 넘어가야겠습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다음 수업은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JavaScript ES6+ 강의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 기술부족을 조금 느꼈고 특히 작년 하반기에 도전했던 리액트를 다시 진행해볼까 했습니다. 그런데 월요일에 있었던 리액트 .. 22.02.09 수 공부했던 것을 짚어보기 전에 계획이 살짝 변경되었습니다. 원래는 자바스크립트 중급 강좌의 메서드와 내용을 공부하고 써먹을 수준으로 올려놓는 것이 목표였는데 몇 일 전에 회사 관계자 분과 면담을 통해 제가 무언가를 만들어 본 경험이 적다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경험을 제대로 갈무리하지 못한 것도 컸습니다. 그래서 충동적(?)으로 스파르타코딩클럽의 메이킹챌린지에 신청했고 오늘부터 달리게 되었습니다. 메이킹챌린지를 전에 해본 경험에 따르면 초반에는 시간이 많아 보이지만 뒤로 갈수록 바쁜 특성에 아무래도 마감시간이 다가오면 공부할 수 있는 양, 시간이 적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으로는 나중에 '힘들다'는 핑계를 벌써부터 하는 것이지 않냐? 라는 생각도 듭니다. 진실은.. 22.02.08 화 오늘도 어제 처럼 자바스크립트 중급 강좌로 공부했습니다. 메서드들을 공부하면서 중간중간 나오는 실습 예제들을 푸는데 메서드를 아니 확실히 어떻게 풀지 보이는 것 같습니다. 물론 문제가 코딩 테스트 문제처럼 추상적이거나 복잡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도 한 몫 합니다. 그렇지만 조금이라도 풀어보고 알아가면서 스스로가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니 뿌듯합니다. 오늘은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다가 중간에 일경험드림 프로그램을 잠시 살펴봤는데 게더에서 관련 회사와 만날 수 있는 공지를 보고 후다닥 게더로 달려갔습니다. 거기서 제가 원하는 회사 부스로 들어가 이런 저런 상담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제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어찌보면 제가 외면했거나 무시하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는 부분을 잘 찔러주셔서 그 회사가 더욱 맘.. 22.02.07 월 코어 자바스크립트를 끝내고 다음 강의를 들어가기 전에 유튜브에서 자바스크립트 중급 강좌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https://youtu.be/4_WLS9Lj6n4 이 영상인데 코어 자바스크립트를 배운만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겠다 싶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현실은 제 생각과는 달랐습니다. 어쩌면 검색으로 알면 된다. 이런 건 당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던 각 데이터 타입의 메서드들이 주르르 연달아 나오자 저는 하나하나 받아적기에 급급했습니다. 코딩 테스트에 좀 쓰고 일할 때는 잘 안쓰지 않을까? 그리고 그때는 검색해서 찾으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었던 저의 과거는 이 강의를 보고 틀렸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이건 이런 쪽에서 쓰이고 저건 저렇게 쓰인다는 말을 들으면서 저는 반성을 하며 이 .. 22.2.05 토 오늘은 클래스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이것들을 한 번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클래스는 인스턴스의 공통점을 모은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인스턴스는 공통점을 지닌 구체적인 대상을 말합니다. 클래스를 상속하려면 인스턴스를 메서드로 넘겨주면 된다.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 Person은 상위 클래스 // Employee는 하위 클래스 Employee.prototype = new Person(); Employee.prototype.constructor = Employee; 하위 클래스의 프로퍼티를 상위로 덮으면 새로운 객체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본래의 기능을 다시 부여하기 위해 consturctor를 Employee로 설정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클래스에 주어진 프로퍼티도 따라오기 때문에 클래스의 정의와.. 22.2.04 금 오늘은 프로토타입을 공부해보았습니다. 코어 자바스크립트의 저자이신 정재남 개발자님도 6개월 걸렸을 만큼 어려운 개념을 최대한 쉽게 설명해주셨는데도 저는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여러번 돌려봤습니다... 중간에 생성자 함수와 new도 헷갈리기 시작하면서 다시 찾아보고 하면서 이해를 하니 어느새 시간이 오후 5시가 넘어가더군요. 분명 10시 쯤에 공부를 시작했는데 말이죠. 그렇게 이해한 프로토타입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프로토타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Prototype을 알아야 하고 [[prototype]], constructor도 알아야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constructor는 생성자함수로 new를 통해 유사한 객체를 만들어냅니다. 이때 생성자함수와 new의 객체에서.. 22.2.03 목 설은 다들 잘 보내셨나요? 저는 설날을 쉬고 다시 공부를 시작해보았습니다. 받은 세뱃돈으로 듣고 싶은 강의를 사니 듣지 않을 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코어 자바스크립트부터 공부를 시작해보았습니다. 오늘은 클로저와 콜백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클로저 컨텍스트 a에서 선언한 변수를 내부함수 b에서 참조해 사용했을 때 전역 컨텍스트가 끝날 때까지 변수가 살아있는 것을 클로저라고 합니다. 변수 a가 사용된 컨텍스트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좀비처럼 계속 살아있는 것이죠. 이를 이용해서 우리는 지역변수가 함수 종료 후에도 사라지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2. 콜백함수 콜백함수는 내가 직접 함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다른 곳에 제어권을 위임해 함수를 처리합니다. 콜백함수가 넘겨주는 제어권은.. 이전 1 2 3 다음